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시
전주와 조선왕실실 내부 사진
Gallery of Jeonju and the Joseon Dynasty전주와 조선왕실실
전주는 조선 왕실의 선조가 살았던 지역으로, 왕실의 본향本鄕이라 불리며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았다.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모신 경기전慶基殿을 세우고 왕실의 시조始祖 이한李翰 의 사당인 조경묘肇慶廟를 건립하여 전주가 조선 왕실의 본향이라는 뜻을 전했다. 전쟁 중에도 전주사고의 『조선왕조실록』과 경기전의 어진을 수호하며, 전주의 의미와 왕실 문화를 지켜나갔다. 전시는 〈태조어진(복제)〉, 예종 태항아리 등 전주와 조선 왕실의 관계를 조명하는 문화유산, 문방사우와 사랑방 소품, 왕실 병풍이나 채용신, 최석환 등 전북 서화가의 그림 등으로 구성되었다. 서화 작품은 4개월마다 교체한다. 휴게 공간으로 꾸민 사랑방에서는 〈하루차경〉 영상을 즐기며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전주와 조선왕실실
전주와 조선왕실실 내부 배치도

전주, 조선 왕실의 본향

  • 301<태조어진>
  • 302『용비어천가』
  • 303이화개국공신녹권
  • 304예종 태항아리 외호
  • 305조경단비 탁본
  • 306고종황제 어보

임진왜란과 『조선왕조실』 수호

  • 311실록상자

조선 왕실의 문화

  • 312꽃과 새
  • 313전주 송금정에서 열린 시회
  • 314정몽주의 순절
  • 315『맹자』
  • 316꽃과 동물

선비의 사랑방

  • 307식당진묵
  • 308백자투각구감문실통
  • 309실감영상
  • 310사랑방(휴게공간)
닫기

전주, 조선왕실의 본향

전시실 소개

태조 이성계(1335-1408)가 세운 조선(1392-1910)은 전주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통일신라 문성왕(재위 839-857) 때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이 이곳에 살기 시작하면서 전주는 왕실의 본향이 된 것이다. 조선의 여러 왕은 자신의 뿌리가 비롯된 풍패지향 전주를 역사적 공간으로 만들었다. 왕과 왕실 자손의 태를 묻는 길지로 전주를 택했으며 국가의 중요한 기록을 보관하는 사고를 전주에 세웠다. 또한 태조 어진을 모신 경기전, 시조의 위패를 모신 조경묘, 시조의 묘역인 조경단을 정비하고 대대로 제사를 모시기도 하였다.

임진왜란과 『조선왕조실록』 수호

전시실 소개

1592년 왜적이 전주를 침범하자 관원과 백성들은 전주사고에 보관된 『조선왕조실록』 과 경기전에 모신 <태조어진>을 내장산으로 이안시키며 수호하였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전주사고의 『조선왕조실록』 과 경기전의 <태조어진>은 본 모습을 간직할 수 있었습니다. 이 모두 지역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왕실의 문화

전시실 소개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운 이래 500여 년 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천문학, 초상화, 기록문화 등의 왕실문화가 발전하였다. 찬란하게 발전한 왕실 문화는 민간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화가 채용신(1850~1941)은 왕실문화가 민간으로 퍼져나가는 변화의 중심에 있습니다. 태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의 어진 모사와 고종 어진을 주관한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 채용신은 1906년 고향 전북에 돌아와 초상화 제작의 상업화와 초상화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전주와 조선왕실실 QR코드 https://jeonju.museum.go.kr/menu.es?mid=a10202050000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